건강정보

기능성 위장장애에서 프로키네틱스(Prokinetics)와 부스피론, 어떻게 다를까?

페이지 정보

profile_image
작성자
cindy
댓글
0
작성일
25.03.28 10:39:06

본문

기능성 위장장애(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)는 위 내시경상 구조적 이상은 없지만, 지속적인 불편감이나 소화불량, 팽만감, 조기 포만감 등을 호소하는 상태입니다. 이 중에서도 식후 더부룩함이나 복부 팽만, 위 배출 지연이 동반되는 경우에는 치료 전략이 중요합니다.

오늘은 기능성 소화불량에서 자주 사용되는 두 가지 약물, **프로키네틱스(Prokinetics)**와 **부스피론(Buspirone)**의 작용 기전과 차별성을 과학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.


132f5fa154d18942c24fc6ef79b5d235_1743126148_9695.jpg
 

1. 프로키네틱스(Prokinetics): 장의 움직임을 도와주는 조력자

프로키네틱스는 말 그대로 위장관 운동을 촉진하는 약물입니다. 대표적인 약물에는 모티리톤(이트프리드), 메토클로프라미드, 돔페리돈, 프루칼로프라이드 등이 있습니다.

✅ 작용 기전:

  • 도파민 D2 수용체 차단 → 위장의 콜린성 뉴런 억제를 풀어 운동 촉진

  • 5-HT4 수용체 작용 → 장의 연동운동 강화

  • 일부 약물은 항구토 효과도 동반

✅ 임상 효과:

  • 위 배출 촉진

  • 식후 팽만감, 더부룩함 개선

  • 위하수, 조기 포만감 등 위 정체 증상 완화

✅ 주요 특징:

  • 기계적 위운동 저하 중심 증상에 효과적

  • 단기 증상 완화에 유용


2. 부스피론(Buspirone): 위의 긴장을 풀어주는 신경 조절자

부스피론은 원래 항불안제로 개발되었지만, 위장관의 특정 기능에 작용함으로써 기능성 소화불량에도 적응증이 확장되고 있는 약물입니다.

✅ 작용 기전:

  • 5-HT1A 수용체 부분 작용제

  • 위의 상부(위저부)의 긴장을 완화하고 이완시켜 **위 순응성(compliance)**을 증가시킴

  • 위장관 내 압력 상승을 줄여 팽만감을 경감시킴

✅ 임상 효과:

  • 식후 포만감, 조기 포만감 완화

  • 위저부의 이완 장애가 주된 경우에 효과적

  • 스트레스 관련 위장 증상에도 도움 가능

✅ 주요 특징:

  • 진정작용 적고, 의존성 거의 없음

  • 위장 감각 조절에 강점


132f5fa154d18942c24fc6ef79b5d235_1743126113_2311.jpg

3. 비교 정리
132f5fa154d18942c24fc6ef79b5d235_1743126023_68.png

4. 결론

기능성 위장장애 환자에서 같은 '소화불량'이라도 원인과 증상 양상에 따라 치료 전략은 달라져야 합니다. 단순한 운동 저하라면 프로키네틱스가, 위저부 긴장이나 감각 과민이 원인이라면 부스피론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.

정확한 진단과 증상 중심의 약물 선택이야말로 기능성 위장장애 치료의 핵심입니다.



 

댓글목록0
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